Home
Huray.dev
Cancel

Node.js MongoDB 사용해보기

UMC 4기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면서 사용했던 MongoDB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Mongo DB란? MongoDB는 NoSQL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로, 분산형 문서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MySQL vs Mongo DB MySQL은 SQL(관계형 DB)을 사용하고 Mongo DB는 NOSQL(비관계형 DB)을 사용한다는...

AI Numpy 정리

데이터를 처리할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Numpy에 대해 강의 내용을 토대로 정리해보려한다. Numpy란? Numpy는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를 위한 오픈 소스 수치 계산 라이브러리이며, 고성능의 다차원 배열 및 행렬 연산을 지원한다. Numpy는 데이터 분석, 과학적인 연구, 기계 학습, 인공 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Nu...

AI Pima Indians Diabetes Database

Pima Indians Diabetes Database를 분석한 것을 적어보려 한다. 데이터 셋 df = pd.read_csv("./data/diabetes.csv", encoding="utf-8") df.shape (768, 9) df의 데이터에는 768개의 행과 9개의 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ol = df.col...

AI Feature Cleaning 정리

AI를 공부하면서 배운 Feature Cleaning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Missing values (누락된 값) 정의 : 변수 내의 특정 값이 저장되어있지 않는 것 누락된 데이터가 중요한 이유 누락된 값이 있는 경우 특정 알고리즘이 작동하지 않음 누락된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으면 모델이 정확하지 않은 결론을 내릴 수 있음...

AI 시각화 연습_1

오늘은 AI를 공부해보면서 Seaborn을 이용한 시각화 연습한 것 중 Relational 그래프를 다뤄보려한다. Seaborn이란? Seaborn은 파이썬 데이터 시각화 라이브러리이고, Matplotlib을 기반으로 한 통계 그래픽스 패키지이다. Relational 그래프 두 가지 변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Linked List (링크드 리스트)

C언어를 기반으로 자료구조에서의 Linked List에 대해 정리해보려한다. Linked List란?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는 데이터 요소들을 순서대로 저장하기 위한 자료 구조이다. 각각의 데이터 요소는 노드(node)라고 불리는 객체로 표현되며. 각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링크)로 구성된다. Li...

Node.js 라우터 분리

Node.js를 공부하다가 어려웠던 개념인 라우터 분리에 대해 정리해보려한다. 라우터(Router)란? 라우터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적절한 핸들러 함수로 라우팅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능이다. 라우터는 URL의 경로와 HTTP 메소드(GET, POST 등)를 기반으로 요청을 분류하고 처리할 핸들러 함수로 라우팅...

큐(Queue)

C언어를 기반으로 자료구조에서의 큐에 대해 정리해보려한다. Queue란? 큐는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를 특정 규칙에 따라 처리하는 자료구조이고, 데이터가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되는 FIFO (First-In-First-Out) 방식으로 동작한다. Queue의 용어 Front : Queue에서 Item이 삭제되는 위치...

스택(Stack)

C언어를 기반으로 자료구조에서의 스택에 대해 정리해보려한다. 스택(Stack)이란? 스택(Stack)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추상적인 자료구조이다. 스택은 Last-In-First-Out(LIFO)의 원칙으로 데이터를 삽입 혹은 삭제한다. 즉, 스택은 LIFO의 원칙에 따라 처음 들어간 데이터가 제일 마지막에 나온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Node.js Express를 이용한 Get/Post방식

Node.js에서 Express를 이용한 Get/Post방식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Get방식 GET 방식은 주로 데이터를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브라우저의 주소 표시줄에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클릭하면 GET 요청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요청은 URL의 쿼리 파라미터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한다. const express = requi...